티스토리 뷰

반응형

Photo by Robson Melo on Unsplash

사과는 사과나무의 열매로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되는 열매 가운데 하나이고 평과 또는 빈파라고 불리웠다고 하고 사과열매는 가을에 익는데 보통 지름이 5에서 9센티이고 극히 드물지만 15센티에 이르기도 하고 씨앗에는 미량의 사이안화물이 함유되어 있고 샐러드 주스 파이 카레 등의 재료로 쓰이고 있어 많은 인기를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과일입니다

원산지와 역사

사과나무의 원산지는 발칸반도로 알려져 있으며 BC 20세기 경의 스위스 토굴 주거지에서 탄화된 사과가 발굴된 것으로 보아 서양 사과는 4000년 이상의 재배 역사를 가진 것으로 추정되고 그리스 시대에는 재배종 야생종을 구분한 기록이 있고 접목 번식법이 이미 소개되어 있을 정도로 재배 기술이 진보되었고 로마시대에는 말루스 또는 말럼이란 명칭으로 재배가 성향 하였고 그 후 16-17세기에 걸쳐 유럽 각지에 전파되었고 17세기에는 미국에 전파되었고 20세기에는 칠레 등 남미 각국에 전파되었으며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재래종인 능금나무를 재배했고 가장 오래된 기록으로 계림유사 12세기에 고려말로 언급이 있고 고려도경 1123에는 고려에 내금이 자란다고 기록하고 있고 여기서 임금과 내금이 능금과 사과 중 어떤 것을 가리키는 말인지는 확실하지 않고 조선 숙종 때 쓰인 홍만선의 산림경제 18세기 초에는 사과와 임금의 재배법이 각각 실려 있고 1884년 무렵에는 선교사들이 서양 품종을 들여와 관상수로 심었고 대구와 경북 지방의 사과의 경우는 1899년 선교사로 왔던 우드브리지 존슨이 대구에 있는 그의 사택에 심은 72그루의 사과나무로부터 널리 퍼졌으며 이름과 어원 사과의 옛 형태가 남은 기록 중 가장 오래된 것은 언해 두창 집요의 사과인데 사과를 껍질 째 조찬재 검게 사라 가라 맹고 사당믈에 풀어 먹이라라고 써져 있었고 이 단어가 1527년 훈몽자회에서는 사과라고 표기되고 산림경제 18세기 초에서는 사과로 차차 표기되었고 19세기까지는 능금나무와 사과나무를 따로 구분하지 않고 크기 등의 차이로만 구분해서 불렀다고 합니다

생산국과 품종

20세기 초 능금나무가 다른 종으로 분류된 뒤에 사과라는 단어는 말루스 나무를 부르는 말로 정착하였고 학명 말루스 도메스티카는 라틴어로 친숙한 사과란 뜻이고 사과라는 뜻의 말루스는 악을 뜻하는 말 룸과 비슷하여 기독교 문화권에서 전통적으로 선악과로 표현되고는 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말루스는 사과를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멜론에서 온 것으로 말 룸과는 어원이 다르며 멜론은 지금 먹는 과일인 멜론의 어원이 되기도 했기에 세계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품종은 700여 종이 되지만 대한민국에서 유실수로 재배되고 있는 품종은 10여 종이고 사과의 품종은 수확기에 따라 조생종과 중생종 그리고 만생종으로 나뉘고 색깔에 따라 홍색 사과 황색 사과 녹색 사과로 구분하며 현재 널리 재배되고 있는 품종에는 스타킹 골든 딜리셔스 축 등이 있고 근래에는 조나 골드 부사 등이 있고 대한민국에서는 홍옥이 오랫동안 재배되었으나 현재는 적은 수가 재배되고 있고 재배 19세기 초까지는 영국이 세계 최대 생산국이었으나 19세기 말에 들어서는 미국에서 육종이 성행하여 최대의 생산국이 되었으며 한때 러시아가 세계 최대 생산국이었다가 2014년에는 중국이 전 세계 생산량의 48%를 차지해서 최대였고 미국 터키 폴란드 이탈리아 등이 뒤를 이어 생산하고 있고 대한민국에서 사과 재배지로 유명한 곳은 경상북도 북부지방 청송군 안동시 영양군 등이고 최근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강원도 인근 지역에서도 사과가 재배되고 있고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의 경우 대한민국과 달리 재배하는데 어느 정도 충분히 가능하나 북한의 무분별한 벌목 행위로 인해 식재량 감소 현상이 계속되는 경우가 있어 백두산을 중심으로 하는 개마고원 일대나 유역에서는 여름에도 겨울 같은 기후라 재배할 수 있는 능률이 극히 드물어서 일본의 경우 주로 도쿄도 이북의 도호쿠 지방이나 홋카이도 서일본의 내륙부 고산 지대에서 집중적으로 재배할 수 있고 일본 내 최대 사과 생산지는 아오모리현이고 인도의 경우 사과를 딜리셔스 스타킹이라는 별명으로 부르고 있으며 기후가 다양하여 사과 또한 재배면적이 넓고 건강효과 알칼리성 식품으로 칼로리가 적고 몸에 좋은 성분이 많이 들어있습니다

몸에 좋은 성분

식이섬유는 혈관에 쌓이는 유해 콜레스톨을 몸 밖으로 내보내고 유익한 콜레스테롤을 증가시켜 동맥경화를 예방해 주는데 또한 칼륨은 몸속의 염분을 배출시켜 고혈압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주고 한국 과수농협연합회에 따르면 사과와 배를 즐겨 먹는 사람은 뇌졸중 발생 위험이 줄어든다고 하며 아침 사과는 보약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다른 과육에 비해 탄수화물과 비타민C 무기염류가 풍부하며 단백질과 지방이 비교적 적은 편에 속하는데 사과씨에는 생명의 위협을 주는 극소량의 청산가리가 들어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유방암 대장암 예방에 도움이 되고 사과에 들어있는 펙틴은 대장암을 예방하는 유이관 지방산을 증가시키고 붉은색 사과에 풍부한 폴리페놀 성분은 대장 내에 머무는 동안 장 내의 항암물질 생산을 해서 유방암 예방을 돕고 사과는 노화를 방지하며 하얗고 뽀얀 피부를 만들어주는 성분인 폴리페놀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고 영국 식품연구소 연구팀이 폴리페놀 성분을 따로 추출할 수 없는 과일인 사과 복숭아 천도복숭아를 분석한 결과 폴리 패놀 성분을 추출할 수 있는 포도 같은 과일보다 최고 5배까지 더 많은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고는 것을 발견했는데 사과는 많은 종교적 전통에서 언급되는데 신비적이고 금지된 과일 금단의 열매로 특히 여겨지고 있습니다

사과 오래 보관하는 방법

온도만 서늘해도 몇 주 동안 사과의 신선도가 유지되지만 몇 가지 조치를 더 취하면 사과를 최장 몇 개월까지도 보관할 수 있는데 먼저 상태가 좋은 사과를 살펴보고 멍이나 물렁거리는 부분이 있는 사과를 골라내고 멀쩡한 사과만 남겨둔 다음 따로 보관하는 게 좋은데 상한 사과 하나가 모든 사과를 썩게 만들기 때문이고 사과는 부패하면서 다량의 에틸렌 가스를 내뿜어서 상한 사과와 멀쩡한 사과를 같이 보관하면 안 되고 상한 사과는 바구니에 넣어 상온에 보관하면 약 이틀 동안 신선도가 유지되는데 긴 시간은 아니고 상한 사과는 보관 방법에 상관없이 빨리 먹어치워야 하고 부분적으로 상한 사과는 더 빨리 부패하기 때문이고 사람이 먹기에는 너무 많이 상했다면 사슴이나 다른 야생동물이 먹도록 숲에다 버리는 게 좋은데 야생동물이 먹지 않더라도 썩어서 흙 속의 여러 곤충과 생물의 먹이가 될 것이고 일단 상태 좋은 사과를 냉장고에 넣기 사과를 서늘하게 보관하면 더 오래 신선도가 유지되고 대개 요즘 냉장고에는 과일 칸이나 야채 보관실이 있기 때문에 냉장고에 이런 보관실이 있다면 사과를 여기에 보관하고 이런 보관실이 없다면 뚜껑 없는 플라스틱 용기에 담아 가장 온도가 낮은 냉장고 뒤쪽에 놓아두는 게 좋고 사과의 신선도를 유지하려면 차가운 온도 외에 소량의 수분이 필요한데 젖은 종이 타월로 사과를 덮어두면 수분이 충분히 공급되기 때문에 좋은 방법 중에 하나이긴 하지만 사과를 젖은 종이 타월로 덮더라도 용기나 보관실 안에 완전히 봉해버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고 가능하면 야채 보관실에 온도 조절 장치를 보고 온도를 마이너스 1도에서 2도 정도로 맞추는데 이 온도가 사과를 보관하기 딱 좋고 사과를 이보다 더 차갑게 보관하면 세포가 분해되어 사과가 물컹물컹해지고 못 먹게 되는데 사과를 1도만 더 따뜻하게 보관하면 사과가 익는 속도가 두 배 빨라지기 때문에 온도를 아주 작은 단위로 조절할 수 있는 온도 조절 장치는 없지만 냉장고나 야채 보관실을 더 차갑거나 따뜻하게 만들 수 있는 기본 장치가 있다면 보관실에 온도계를 두고 적당한 온도가 될 때까지 장치를 조절하고 사과 계속 살펴보기 이 방법으로 보관하면 최장 주까지 사과를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습니다

 

출처 : 위키피디아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