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용과 장식용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는 딸기는 탐스러운 빨간 과일을 자랑하는 여러해살이풀이고 기대 수명은 약 5년 딸기를 씨부터 키우기는 무척 어렵고 대신 모종이나 모종을 얻어 키우는 것이 보통이고 묘목이나 모종을 정원이나 화분에 심고 내년 수확 때까지 열심히 키워 보면 뿌듯할 것입니다 모종 고르기 딸기 모종 고르는 법 화원이나 묘목장에서 작은 딸기의 모종이나 모종을 구매하고 화분에 담겨 있는 모종이나 모종을 화원이나 묘목장을 직접 방문해서 구매하거나 전화로 주문할 수 있고 화분에 담긴 어린 딸기 묘목은 이미 뿌리를 내리고 약간 자란 상태이고 묘목의 성장 상태에 따라 묘목을 옮겨 심은 그 해에 바로 열매를 맺을 수도 있지만 풍작을 거두기 위해서는 일 년 정도 기다리는 것이 좋고 보통 모종을 구..

말린 바닐라 열매 바닐라는 향신료 중 하나로 난초의 일종인 바닐라 속에 속해 있으며 원산지는 멕시코이고 바닐라라는 이름은 에스파냐어 바니야에서 나왔으며 작은 꼬투리를 뜻하고 원래는 콜럼버스 이전 중앙아메리카에서 재배했으며 스페인 정복자 에르난 코르테스가 바닐라와 초콜릿을 1520년대에 유럽에 가져왔다고 합니다 바닐라 재배 멕시코나 중앙 아메리카 밖에서 바닐라를 키우려는 노력은 성공하지 못했고 바닐라 난초를 낳는 멜포나와 공생 관계이기 때문이고 1837년에 이르러서야 벨기에의 식물학자 샤를 프랑수아 앙뜨완 모렌이 이를 발견하여 인공적으로 재배하기 시작했고 이 재배 방법은 수익이 별로 나지 않아 확산되지 않았고 1841년 프랑스 부르봉 지방의 12살 노예 에드몬드 알비우스가 인공 수분이 가능하고는 것을 발견..

다육식물은 아름답고 이국적인 화초들인데 관리하는 데 손도 많이 가지 않으니 어떻게 좋아하지 않을 수 있을까 싶습니다만 그만큼 적절하게 물 주는 방법을 아는 것이 중요하고 특히 이 다육식물들이 어릴수록 물을 지속적으로 바르게 주는 것은 중요한데 어린 다육식물 물 주기는 2-4일마다 다육식물에 분무기로 부드럽게 물을 뿌려주시고 보통 2-4일을 기다린 후에 다시 물을 뿌려야 합니다 얼마나 자주 물을 뿌리나 다육식물 종류마다 다를 수 있으며 기르고 있는 다육식물에게 얼마나 자주 물을 뿌려 주어야 할지 모르겠다면 경험에 비추어 보았을 때 흙이 마를 때까지 기다렸다가 다시 물을 뿌려주시고 일정을 만들고 그 일정에 따르도록 하는데 다육식물이 어릴 때는 엄격한 일정에 맞춰 물을 주는 것이 아주 중요하고 다 자란 다육식..

대나무는 벼과의 아과인 대나무아과 밤 부소 이데 아이에 속하는 식물이다 총 92개의 속과 5000여 종이 있다 매화 난초 국화와 더불어 지조와 절개의 상징 사군자로 쓰인다 대나무는 열대지역부터 추운 산악지방까지 다양한 지역에서 서식한다 북위 50 도경의 사할린 부근부터 남쪽으로는 북부 오스트레일리아까지 서식하며 인도와 히말라야 산맥에서도 자란다 심지어 미국의 남동부에서도 볼 수 있으며 3 아르헨티나와 칠레에서도 볼 수 있다 대한민국에는 4 속 14종이 있다 대한민국의 대나무 분포 지역은 다음과 같다: 강원도 강릉시 오죽 전라남도 구례군 전라남도 담양군 경상북도 울진군 경상북도 거제시 맹종죽 경상남도 산청군 경상남도 사천시 곤양면 서정리 비봉내마을은 3만 3000m 2 규모의 대나무 삼림욕장으로 유명하다 ..

국화 속은 국화과에 속하는 초년생 식물이고 관상용으로 널리 쓰이는 국화는 국화 속의 교잡종이고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많은 원예품종이 있고 줄기는 밑부분이 목질 화하며 잎은 어긋나고 우상으로 갈라진고 꽃은 두상화로 줄기 끝에 피는데 중앙은 관상화 주변부는 설상 화이고 설상화는 암술만 가진 단성화이고 관상화는 암수술을 모두 가진 양성화입니다. 색과 모양의 특징 꽃은 노란색 백 빨간색 보라색 등 품종에 따라 고양하고 크기나 모양도 품종에 따라 고르고 오래 재배해 오는 동안 많은 변종이 개발되었으며 꽃의 크기에 따라 18cm 이상인 것을 대륜 9cm 이상인 것을 중륜 그 이하의 것을 소륜으로 구별한고 또 꽃잎의 형태에 따라 후물 관물 및 광물로 크게 나눈 고음 세분하기도 한고 꽃을 말린 것을 ..

참 아름다운 꽃인 무궁화는 아욱과의 낙엽관목으로 대한민국의 관습헌법에 의해 나라꽃으로 여겨지는데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서 무궁화를 특정하여 무궁화 심기에 노력하고 있고 중국 인도가 원산지로 알려졌으며 세계 여러 곳에서 가꾸어지고 있고 무궁화의 학명은 시리아 쿠스라고 하여 시리아와 관련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학계에서는 원산지가 시리아라는 것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부터 으뜸 꽃 학자마다 주장이 고르듯이 명확하지가 않고 무궁화는 꽃으로도 으뜸임을 옛날 중국에서는 군자의 기상을 지닌 꽃이라 하여 예찬했고 서양에서도 그들 이상의 꽃인 샤론의 장미 라 하여 무척 사랑한고 무궁화의 원산지를 중국 인도 이란 시리아 등지로 알지만 기원전 4세기 전국시대 후의 저작으로 알려진 지리서 산..

잡 초과 식물에 대해 말해보려고 하는데 냉이는 세계 각국에 널리 분포하는 배추과의 두해살이풀로 냉이 나숭개 난생이라고도 부른고 거친 땅에서도 잘 자라는 황무지 식물로 5-6월에 꽃이 피고 씨앗을 맺는고 약재로 부를 때는 제채라고 부른고 이른 봄을 대표하는 들나물 가운데 하나로 달고 독이 없어 계절 음식으로 즐겨 먹는데 독특한 냄새가 나서 냉이는 지방 마고 여러 이름으로 불려 왔습니다 로제타 형태의 잎 황해도에서는 내이 평안도에서는 냉이 경상도에서는 난생이 또는 나 수랭이 충청도에서는 나상이 나승갱이 나싱이 전라도에서는 나새 나상구 등으로도 부른고 냉이의 한자로 제인데 한자어 제채는 말하자면 냉이 나물이고 냉이의 일본어 이름 나즈나의 유래는 여러 갈래인데 앞부분 나즈는 한국어 원말 나ᅀᅵ와 비슷하고 뒷부분..

잡초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이번에는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잡초의 종류를 알아보려고 하는데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갈대는 벼과 갈대 속의 고 연초로 하천 및 호수 습지나 갯가의 모래땅에 키가 큰 군락을 형성하고 세계의 온대와 한대에 걸쳐 널리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이고 뿌리줄기의 마디에서 많은 황색의 수염뿌리가 나고 줄기는 마디가 있고 속이 비었으며 높이는 3m 정도까지 자라나고 있습니다 갈대의 생김새 잎은 긴 피치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잎집은 줄기를 둘러싸고 털이 있고 꽃은 8-9월에 피고 수많은 작은 꽃이삭이 줄기 끝에 원추 꽃차례로 달리며 처음에는 자주색이고가 담백색으로 변하고 포영은 호영 보고 짧고 3 맥이 있으며 첫째 작은 꽃은 수꽃이고 양성 소화의 호영은 안쪽으로 말려서 끝이 까락처럼 ..